이 회사 직원은 169명이며 이중 75%가 중증 장애인이다. 휠체어에 의지해야 하는 직원도 30명이 넘는다. 공장의 모든 시설에는 휠체어용 통로가 따로 마련돼있고, 공장(1,183평)보다 복리후생건물(1,597평)이 클 정도로 배려가 돋보인다. 더 놀라운 것은 직원들의 표정이 너무 맑다는 것이다. '독립'을 실현해내겠다는 소박하지만 진실한 그들의 꿈이 현실로 다가왔기 때문이다.
이 회사는 2003년부터 지난 해까지 3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. 지난 3년간 매출액은 총 350억원이 넘고흑자폭은 15억원 정도다. 매년 5억원의 흑자를 실현한 셈이다.
올해는 새로운 목표도 세웠다. 1994년 창사이래 처음 자체 브랜드로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다. 주력 가전제품인 무선핸디형 스팀청소기 '바로바로 스팀'이 첫 신호탄이다. 1년 6개월에 걸쳐 개발한 제품으로, 스팀 강약조절, 은나노 항균기능, 카펫 청소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. 그 동안 전화기, 정수기 등이 주문자상표부착생산(OEM) 방식에 따라 삼성전자 브랜드로 소개됐지만, 이 제품은 무궁화전자라는 이름으로 선을 보이게 된다. 첫 출시는 이달 초로 잡았다.
두려움도 앞선다. 대기업 그늘에서 벗어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지 모르는 바도 아니다. 하지만 언제까지 대기업 보호아래 회사를 이끌어갈 수도 없는 상황이다. 위기는 곧 기회라는 생각으로 배수진을 친 직원들의 의지는 어느 때보다 진지하다.
무궁화전자의 흑자전환 계기는 독립경영에서 시작됐다. 이 회사는 94년 삼성전자가 사회환원사업 차원에서 내놓은 243억원으로 문을 열었지만 9년 연속 적자에 허덕였다. 삼성전자로부터 주문 받은 제품을 조립해 납품해왔으나 생산라인과 수주물량이 많지 않아 경영난에 시달렸다.
더 이상 물러날 수 없는 벼랑에 선 2002년 무궁화전자는 매출 증가를 위해 TV, 휴대폰 등의 핵심 부품인 인쇄회로기판(PCB)을 조립하는 표면실장라인(SMP)을 증설했다. 회사는 또 쓰지 않는 조립라인에 삼성전자의 디지털TV 조립라인을 신설하는 등 변화를 모색했다. 결과는 성공적이었다. 1년여 만에 경영이 흑자로 돌아섰고, 삼성전자뿐 아니라 다른 기업에서도 주문물량이 쏟아졌다.
김기경 차장은 "장애인 기업이라고 해서 경쟁력과 자생력을 외면하면 무한경쟁 시대에서 도태될 수 밖에 없다"며 "해외시장 진출 등 사업다각화에도 노력할 것"이라고 말했다.
한창만기자 cmhan@hk.co.kr |